경제적 자유를 얻기위해/당일 거래량 1,000만주 이상 종목 정리

2023년 9월 6일 거래량 1,000만주 이상 종목 분석

Kang's Ordinary Life 2023. 9. 6. 16:59

1. 거래량 1,000만주 이상 종목

  - 코스피: 체시스, 삼부토건, 태양금속(944만)

  - 코스닥: 피델릭스, 랩지노믹스, 나우IB, 포스코DX, 스맥, 오성첨단소재, 모니터랩, 폴라리스오피스, 셀바스AI, 유진로봇, 셀바스헬스케어, 화일약품, 시큐센, 푸른기술, 옵트론텍, 부방(975만), 시큐레터(900만)

2. 종목

  가. 체시스

   1) 테마: 자동차의 부속품 제조 및 판매와 관련된 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9년 8월 3일에 설립, 자동차 부품인 REAR-AXLE, CROSS-MEMBER, CRADLE, ARM, OIL-PAN 등의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

   2) 당일 차트

   3) 뉴스: 

  나. 삼부토건

   1) 테마: 국내사업 부문에서는 도로공사, 지하철, 철도, 발전소 등의 생산 및 판매 제품이 있음,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2) 당일 차트

   3) 뉴스: 우크라이나 인프라 관련주 주목

  다. 태양금속

   1) 테마: 자동차 및 전자부품용 냉간단조제품과 관련 부품을 생산, 판매하는 지배적 단일사업부문으로 운영

   2) 당일 차트

   3) 뉴스: 장치산업 매수세 증가

   라. 피델릭스

   1) 테마: Memory 반도체 중 모바일 폰의 Buffer Memory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한 설계 및 판매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팹리스 전문회사로서 모바일 디램 등의 사업을 영위,생산시설이 없는 팹리스 업체로, 제품 생산을 위한 파운드리 거래처 확보는 사업 추진에 있어 필수적인 중요한 요소

   2) 당일 차트

   3) 뉴스: 중국 55조 규모 반도체 산업 활성화 기금 조성

 마. 랩지노믹스

   1) 테마:  진단제품 개발업을 영위하는 기업, 자체 개발한 BI 플랫폼 기반 암 진단검사 서비스 'CancerSCAN'과 국내 최초 NGS 기반 NIPT 산전 기형아 검사 서비스 'MomGuard' 등을 제공 중

   2) 당일 차트

   3) 뉴스: 미 정부 추진하는 암정복프로그램 캔서문샷에 참여

  바. 나우IB

   1) 테마:  신기술사업금융회사로서 투자조합과 사모펀드를 통해 신기술사업자, 창업자, 벤처기업 등에 대한 투자 및 회수의 업무를 수행, 수익은 관리보수, 성과보수, 지분법이익과 기타의 영업수익으로 구성돼 있으며 일반적으로 관리보수는 조합 및 PEF 운영규모에 따라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에 해당

   2) 당일 차트

   3) 뉴스: 

  사. 포스코DX

   1) 테마: 철강분야를 주력으로 건설, 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ICT솔루션을 기반으로 Smart化 사업을 추진

   2) 당일 차트

   3) 뉴스: 코스피 이전

  아. 스맥

   1) 테마: 정보통신장비의 개발,제조 및 관련 소프트웨어의 개발, 판매 등을 주 목적사업, 기계사업(공작기계 제조 및 판매, 산업용로봇의 제조 및 판매업)을 추가로 영위, 사업부문은 공작기계, 자동화 장비, 융복합 장비, 로봇 등을 제조하는 기계사업부문과 이동통신장비, IP네트워크 장비 등을 제작하는 ICT사업부문으로 구성

   2) 당일 차트

   3) 뉴스: 폐배터리 재활용 공정 로봇 연내 생산

  자. 오성첨단소재

   1) 테마: 장비사업부문과 소재사업부문간의 물적분할을 통해 오성첨단소재로 사명을 변경, 디스플레이용(TV, IT) 광학필름 및 기능성필름을 개발, 생산하여 국내외 업체에 판매를 하고 있으며, 그 밖에 부동산 임대업을 영위, 카나비스메디칼에서는 의약품, 의료개발, 의료용 연구개발업을 영위

   2) 당일 차트

   3) 뉴스: 미, 대마 마약위험등급 하향 권고

  차. 모니터랩

   1) 테마: B2B SaaS(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며 웹방화벽과 보안웹게이트웨이 서비스 분야에서 국내 시장을 리딩, 자체 개발한 OS인 AIOS를 탑재하고 고성능 Proxy엔진을 탑재하여 인터넷트래픽과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완벽한 보안을 제공, SECaaS(Security as a Service)형태의 클라우드 보안서비스 개발을 통해 국내 클라우드 보안시장의 흐름을 주도

   2) 당일 차트

   3) 뉴스: 정부 2027년까지 정보보호산업 시장 규모를 키우기 위한 예산 투입 소식에 강세

  카. 폴라리스오피스

   1) 테마: 폴라리스 오피스(Polaris Office), 모바일 백신솔루션 (V-Guard), Atlassian 솔루션, 모바일 게임 사업 부문을 영위, 단말기나 이동통신사 앱스토어의 보안 검증을 위한 플랫폼 개발 및 유지 보수를 하는 보안 플랫폼 사업을 영위

   2) 당일 차트

   3) 뉴스: 9월 6일 폴라리스오피스 AI정식 출시

  타. 셀바스AI

   1) 테마: 인공지능 전문기업으로, 24년간의 HCI 연구개발로 기술 경쟁력 강화는 물론, AI 융합 제품화와 다양한 도메인과의 협업으로 AI Digital Transformation을 주도,현재 음성합성 국내시장점유율 1위, 국내 유일 필기지능 기업, 음성인식 인식률 98% 이상, 원천 기술 특허 79건을 보유

   2) 당일 차트

   3) 뉴스: 셀바스AI자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상한가

  파. 유진로봇

   1) 테마: 지능형 서비스 로봇 등 판매, 제조를 영위하고 있으며, 자율주행 솔루션 부문과 청소로봇 부문, 산업자동화 설비 시스템 부문으로 구성,자율주행솔루션 부문은 고카트, 라이다센서, 로봇자동화 패키지 등의 사업이 있고, 청소로봇 부문은 아이클레보 오메가, 아이클레보 지니 등이 있음, 산업자동화 설비 시스템 부문의 사업분야는 반도체와 자동차 부품의 조립검사 시스템을 공급하는 사업분야로 나누어짐.

   2) 당일 차트

   3) 뉴스: 유진로봇 고카트(물류 운반 자율주행 로봇) 싱가포르 수출 촉각

  하. 화일약품

   1) 테마: 의약품 원료의 제조, 판매 등을 주 영업 목적으로 설립됨. 1987년부터 제조시설을 갖추고 원료의약품 제조업체로 변신, 원료의약품 사업분야에서 코엔자임큐텐을 비롯한 식품원료, 완제 사업인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사업으로 사업분야를 다각화, CGMP급 설비시설을 갖춘 원료합성공장을 추가로 신축하여 BGMP승인을 받았으며, 2018년부터 일본 등 선진시장 수출에 주력.

   2) 당일 차트

   3) 뉴스: 

  거. 시큐센

   1) 테마: 핀테크 보안기술 전문업체, 통신사와 카드사 등을 대상으로 로그인 도용방지 서비스, 전화번호 안심로그인 서비스, 인증서 유출방지 서비스 등을 제공

   2) 당일 차트

   3) 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산업 관련 발표로 주목

  너. 옵트론텍

   1) 테마: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에 적용되는 이미지센서용 필터와 디지털카메라, CCTV 및 전장용으로 사용되는 광학렌즈 및 렌즈모듈, 모바일용 스마트기기 카메라에 사용되는 가변조리개 등을 제조해 판매

   2) 당일 차트

   3) 뉴스: 미 전기차업체 카메라 모듈 공급 계약 체결로 상한가(1일전 뉴스)

  더. 부방

   1) 테마: 자회사관리, 부동산 임대 및 신규사업투자 등의 사업을 영위,  프리미엄 주방가전 브랜드인 "쿠첸"의 생활가전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는 '쿠첸', 대형할인마트 운영 및 유통을 영위하는 '부방유통'이 있음, 소프트웨어 자문, 개발 및 공급, 시설관리를 영위하는 '비즈앤테크컨설팅', '에스씨케이' 또한 대상회사로 보유

   2) 당일 차트

   3) 뉴스: 한동훈 테마주(노을, 부방, 극동유화, 태양금동)

  러. 시큐레터

   1) 테마: 악성코드(Unknown Malware)를 분석/탐지하는 전문기업, 이메일 보안사업, 망간 자료전송 파일 보안사업, 웹서비스 파일 보안사업, 문서 중앙화 파일 보안사업, 클라우드 지원 보안사업, 보안위협 인텔리전스 사업, 보안 R&D사업을 통한 기술융합솔루션사업 등을 영위

   2) 당일 차트

   3) 뉴스: 정보보호 산업 관련

 

3. 개인적인 의견

  - 정보보안사업으로 인한 거래량 증가, 정부 주도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필요

  -  로봇, ai 여전히 강세